프리츠커상(3)
-
프리츠커상 세번째 수상자 제임스 스털링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제임스 스털링, 현대 건축의 흐름을 바꾼 건축가영국 출신 건축가 제임스 스털링(1926~1992). 그는 1981년 세 번째 프리츠커상을 수상하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나들며 독특한 건축 세계를 만들어 간 인물이다. 스털링은 초기에는 모더니즘 건축을 따랐지만 점차 포스트모더니즘적 요소를 도입하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구축했다. 단순한 기능주의를 넘어 형태적 실험과 과감한 색채를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그의 건축은 형태의 엄격한 질서를 따르면서도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이는 기존의 단순한 모더니즘을 넘어 보다 감각적이고 대중적인 건축의 느낌을 전달하려는 시도였다.※ 여기서 잠깐!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란?모더니즘은 기능성과 단순함을 강조하는 건축 스타일로,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2025.03.14 -
프리츠커상 2대 수상자 루이스 바라간(Luis Barragán)
프리츠커상프리츠커상은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릴 정도로 건축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9년 미국의 하얏트 호텔 그룹 창립자인 제이 프리츠커와 아내 시디 프리츠커가 프리츠커 건축상을 설립하였다. 프리츠커상 수상시 상금 10만 미국달러와 청동 메달이 전달된다. 생애와 건축 철학루이스 바라간(1902~1988)은 멕시코 출신의 건축가로, 1980년 제2회 프리츠커상 수상자다. 그는 현대 건축에서 기능주의와 기하학적 형태를 강조하면서도, 감성적이고 따뜻한 공간을 창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바라간은 프랑스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을 받았지만, 전통적인 멕시코 건축의 색감과 자연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만의 건축 스타일을 완성했다. 그는 단순한 형태 속에서도 빛과..
2025.03.12 -
건축의 노벨상 프리츠커상 한국이 받을 수 없던이유
콘텐츠 강국 대한민국이 아직 건축 노벨상인 프리츠커상이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에 대한 독자의 시선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츠커상 프리츠커 가문이 운영하는 하야트 재단에서 수여하는 상으로 '건축의 노벨상'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건축 예술을 통해 재능과 비전, 책임의 뛰어난 결합을 보여주어 사람들과 건축 환경에 일관적이고 중요한 기를 한 생존한 건축가"에게 수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근현대 건축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건축가들이 수상하는 위상이 높은 상이다. 1979년부터 매년 수상을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아직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미국과 일본이 최다 수상 보유국이다. 실용주의 대한민국 바로 앞전에 일본 건축가 안도 다다오에 대한 포스팅을 하면서 대표적인 건..
2022.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