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0)
-
벽체 철근 배근 전, 엘리베이터 규격 몰랐다가 벽 자릅니다 – 장애인 승강기 기준도 꼭 확인하세요
#엘리베이터규격 #승강기설치기준 #철근배근실수 #장애인승강기 #출입구규격 #건축배근 #엘리베이터사양서 #도면확인 #건축실무 #아키워커벽체 철근 배근 전, 엘리베이터 규격 몰랐다가 벽 자릅니다 – 장애인 승강기 기준도 꼭 확인하세요 벽체 철근 배근 단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실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출입구 규격을 확인하지 않고 시공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1. 엘리베이터 출입구 – 사양서 먼저 확인해야 벽 안 자릅니다 엘리베이터는 업체별로 출입문 폭, 기계실 높이, 레일 고정 위치가 다릅니다. 이를 미리 확인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출입구 사이즈 미확인 → 벽을 절단하는 사태 발생도어 프레임이 철근 간섭으로 설치 불가레일 앙카 시공 시 철근 피해서 재타공 필요 👉 배근 전, 엘리베..
2025.05.08 -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
#슬래브타설 #콘크리트시공 #냉절현상 #설비매립점검 #단내림시공 #차수판설치 #마감면레벨 #건축현장관리 #콘크리트타설팁 #아키워커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은 단순히 콘크리트를 붓는 작업이 아닙니다.시공 순서, 설비 상태, 누수 차단, 마감 품질까지 모두 준비되어야 제대로 된 타설이 가능합니다. 1. 타설 순서 및 시간 계획 콘크리트는 한번 타설이 시작되면 정해진 시간 내에 끝내야 합니다. 타설 순서를 잘못 잡으면 중간 구간이 먼저 굳는 냉절현상(Cold Joint)이 생겨 구조적으로 약한 부분이 발생합니다. → 구역별 타설 계획 수립, 진동봉 투입 위치, 인력 배치 계획까지 미리 정리되어 있어야 합니다. 2. 슬래브 상부 설비 매립 상태 점검 전기, 통..
2025.05.07 -
천장 슬래브, 철근만 촘촘히 깔면 끝? 진짜 중요한 건 따로 있습니다
#슬래브배근 #천장슬래브 #슬래브철근 #슬래브설비도면 #슬래브개구부 #하중보강 #거푸집오차 #건축시공실무 #건축철근시공 #아키워커천장 슬래브, 철근만 촘촘히 깔면 끝? 진짜 중요한 건 따로 있습니다 기둥과 벽체 철근 배근이 끝났다고 바로 슬래브 철근부터 깔면 안 됩니다.슬래브 작업은 철근 배근뿐 아니라 설비, 개구부, 구조 하중까지 사전에 정렬되어 있어야 안전한 시공이 가능합니다. 1. 슬래브 설비 매립 도면 – 꼭 확인해야 할 3대 항목 슬래브 내부에는 다양한 설비가 매립됩니다.이 매립 위치가 철근 배근 도면과 충돌할 경우 철근 절단이라는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아래 3가지는 반드시 구조팀과 설비팀 간 사전 협의가 필요합니다. 외벽 우수배관 위치→ 외부로 연결되는 우수관은 벽체와 슬래브 경계에..
2025.05.06 -
앵커볼트 나중에 심는 거 아닙니다 – 기초 배근과 동시에 시공해야 합니다
#앵커볼트 #기초배근 #기초공사포인트 #철물시공 #기초정밀시공앵커볼트 나중에 심는 거 아닙니다 – 기초 배근과 동시에 시공해야 합니다기초 콘크리트 다 치고 나서 앵커박기? 이미 늦었습니다 현장에서 자주 보이는 실수 중 하나가 기초 타설 후에 앵커볼트를 따로 박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이건 단순 실수가 아니라, 구조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앵커볼트는 기초 콘크리트와 함께 일체화되어야 제 역할을 할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왜 앵커볼트를 배근 단계에서 시공해야 하는지, 나중에 시공하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정확히 알려드릴게요. 1. 앵커볼트는 구조물과 기초를 연결하는 '핵심 연결 고리' 앵커볼트는 철물 구조물(기둥, H빔 등)을 기초 콘크리트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이 볼트 하나가..
2025.05.05 -
기둥·벽체 철근 배근, 이거 틀리면 건물 전체가 위험합니다
#기둥배근 #벽체철근 #철근시공오류 #건축구조기초 #띠철근 #후프철근 #철근좌굴 #도면해독법 #시방서기준 #아키워커기둥·벽체 철근 배근, 이거 틀리면 건물 전체가 위험합니다 기둥과 벽체는 건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핵심 구조물입니다.이들의 철근 배근은 단순히 도면을 따라 철근을 배치하는 작업이 아니라, 건물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좌우하는 정밀 시공입니다. 벽체 끝단 철근 수량의 중요성 벽체의 끝단은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입니다. 이 부위에 철근이 부족하거나 배근이 부실할 경우, 균열 또는 좌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특히 철근 수량과 간격은 구조적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시방서 기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좌굴 방지를 위한 띠철근(후프)의 역할 기둥과 벽체 철근의 좌굴을 방지하려면 띠철근의 간격과 ..
2025.05.04 -
건물 높이 계산 안 하면 배근도 마감도 다 틀어집니다 – 시공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기준
#건물높이제한 #건축법규 #층고조정 #고도제한 #일조권사선 #도시계획제한 #건축실무 #건축설계기초 #건물시공실수 #아키워커건물 높이 계산 안 하면 배근도 마감도 다 틀어집니다 – 시공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기준 건축 현장에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건물의 전체 높이 제한입니다. 설계 전에 이 기준을 놓치면 나중에 층고가 안 맞고, 단열재를 잘라도 천장이 낮아지는 문제가 생깁니다. 건물 높이 제한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조망권, 일조권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고도제한공항 인근이나 문화재 주변의 절대 높이 규제지자체 도시계획이나 주변 민원에 따른 사례별 제한 이러한 제한은 대부분 건축물 전체 높이(m 단위)로 정해지기 때문에, 그 안에서 층고, 슬래브 두께, 단열재, 마감재까지..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