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9)
-
건축물 단열재 사용 기준과 종류
단열재는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역에 따라, 법적 기준에 따라, 그리고 친환경 여부에 따라 다양한 단열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건축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단열재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보았다.우리나라 지역별 단열 기준 (건축물 에너지 절약설계기준 참고)단열재는 크게 지역에 따라 구분한다. 이유는 지역마다 기후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추운 지역에서는 실내 열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성능 단열재를 사용하거나 단열재 두께를 두껍게 사용해야 하고, 더운 지역에서는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하기 위해 열차단 효과가 좋은 단열재가 사용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각 지역별 열관류율에 따른 외장 단열재 사용 기준이 법적으로 명시되어..
2025.03.16 -
테라코타, 내장재가 아닌 외장재로 사용된 계기
테라코타, 원래는 실내 장식용이었다?테라코타(Terracotta)는 흙을 구워 만든 점토 타일로, 따뜻한 색감과 질감 덕분에 오래전부터 실내 장식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특히, 고대 로마 시대부터 유럽, 중국 등지에서 벽 장식, 조각, 기와 등으로 활용되었고, 현대에도 바닥재, 실내 벽면, 조형물 등에 자주 쓰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테라코타가 실내를 넘어 건물 외장재로까지 확대되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유럽의 오래된 마을의 지붕을 보면 붉은빛이 돌거나 주황색 지붕이 바로 테라코타 기와지붕이다.테라코타 주요 생산국가, 어디에서 만들까?테라코타는 기본적으로 점토를 구워 만드는 재료이기 때문에, 양질의 점토가 생산되는 지역에서 많이 만들어져.대표적인 생산 국가는 아래와 같다.● 이탈리아 🇮🇹: 유럽식 테..
2025.03.15 -
프리츠커상 세번째 수상자 제임스 스털링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제임스 스털링, 현대 건축의 흐름을 바꾼 건축가영국 출신 건축가 제임스 스털링(1926~1992). 그는 1981년 세 번째 프리츠커상을 수상하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나들며 독특한 건축 세계를 만들어 간 인물이다. 스털링은 초기에는 모더니즘 건축을 따랐지만 점차 포스트모더니즘적 요소를 도입하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구축했다. 단순한 기능주의를 넘어 형태적 실험과 과감한 색채를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그의 건축은 형태의 엄격한 질서를 따르면서도 시각적 즐거움을 주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이는 기존의 단순한 모더니즘을 넘어 보다 감각적이고 대중적인 건축의 느낌을 전달하려는 시도였다.※ 여기서 잠깐!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이란?모더니즘은 기능성과 단순함을 강조하는 건축 스타일로,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2025.03.14 -
스마트 건축 IOT적용, 이제는 기본이다.
스마트 건축이란 스마트 건축(Smart Architecture)이란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자동화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건물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미래형 건축 방식이다. 스마트 건축은 출입 보안 시스템(스마트 도어락, 얼굴 인식), 에너지 절감(스마트 조명·냉난방 제어), 안전 관리(IoT 센서 기반 화재·가스 감지), 생활 편의(음성 제어, 스마트 주차 등) 등의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기존의 건축물은 단순한 공간이었다면, 스마트 건축은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 지능형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것은 스마트 시티와 지속 가능한 미래 건축의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스마트 건축의 시작 공동현관 출입제한. 건축과 기..
2025.03.13 -
프리츠커상 2대 수상자 루이스 바라간(Luis Barragán)
프리츠커상프리츠커상은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릴 정도로 건축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9년 미국의 하얏트 호텔 그룹 창립자인 제이 프리츠커와 아내 시디 프리츠커가 프리츠커 건축상을 설립하였다. 프리츠커상 수상시 상금 10만 미국달러와 청동 메달이 전달된다. 생애와 건축 철학루이스 바라간(1902~1988)은 멕시코 출신의 건축가로, 1980년 제2회 프리츠커상 수상자다. 그는 현대 건축에서 기능주의와 기하학적 형태를 강조하면서도, 감성적이고 따뜻한 공간을 창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바라간은 프랑스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을 받았지만, 전통적인 멕시코 건축의 색감과 자연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만의 건축 스타일을 완성했다. 그는 단순한 형태 속에서도 빛과..
2025.03.12 -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설계방식 패시브 디자인과 액티브 디자인.
앞서 제로 에너지 빌딩에 대해 이야기를 하던 도중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설계방식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하게 되어 찾아보게 되었다.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설계방식에는 건물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율을 최소화하고 외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이번 이야기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설계 방식 중 패시브 디자인과 액티브 디자인에 대해서 알아보자.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설계방식1. 패시브 디자인(Passive Design)패시브 디자인은 외부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건축 설계 기법이다. 고성능 단열재 사용 및 단열 기밀성 강화진공단열재 또는 에어로젤 같은 고성능 단열재 사용한다. 진공단열재는 단열재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상태를 만들어 열전도율을 극도로 낮춘 초고효..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