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tect.(9)
-
지속가능한 건축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떤것을 말하는 것일까?
지속 가능한 건축은 무엇인가?지속 가능한 건축(Sustainable Architecture)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건축 방식이다. 이는 건물의 전체 생애 주기를 고려하여 설계, 시공, 운영, 유지보수, 해체까지 모든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속 가능한 건축은 기후 변화 대응, 에너지 절약, 자원 순환 등의 개념을 포함하며, 건축물의 기능성과 쾌적성을 유지하면서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Net Zero) 목표가 강조됨에 따라 지속 가능한 건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건축을 위한 건축자재에는 무엇이 있을까?지속 가능한 건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건축..
2025.03.07 -
1979년 프리츠커상 최초 수상자 필립존슨
프리츠커상 최초 수상자 필립존슨1979년 프리츠거상 최초 수상자인 필립존슨의 성장과정과 대표작 그리고 그의 작품의 특징에 대해서필립존슨의 건축가로써의 성장과정필립 존슨(Philip Johnson, 1906 2005)은 미국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미술과 건축에 관심을 보였고, 하버드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한 후 건축에 대한 열정을 쫓기 시작했습니다. 1930년대 초, 그는 건축가로서 본격적인 경력을 쌓기 시작했고,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서 열린 "국제 스타일" 전시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전시회는 근대 건축을 대표하는 새로운 스타일로 널리 알려졌고, 그의 건축 스타일은 근대건축이 세계적으로 전파되는 데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필립 존슨..
2025.03.06 -
건축가 김수근 한국 현대건축의 시대
한국의 1세대 건축가 김중업과 함께 한국 현대건축의 이름을 남겼던 건축가 김수근의 이야기이다. 벙어리 인척 살아야 했던 시절 어린 시절 미군 병사에게 영어를 배웠는데 당시 미군 병사가 건축을 전공하였고 이를 인연으로 건축가의 꿈을 키우게 되었다고 한다. 1950년 서울대 건축공학과에 입학하였다. 건축가 김중업을 교수로 만났지만 6.25 한국전쟁이 발생하면서 2학년 중퇴 후 일본에 건너가 건축을 공부했다. 전쟁으로 인하여 일본으로 건너갔지만 그곳의 삶은 쉽지 않았다. 한국인을 바라보는 일본인들의 달갑지 않은 시선으로 그는 벙어리 인척 연기를 하며 살았다고 한다. 여의도 입체도시 설계안 도쿄대학 대학원 석사를 취득할 당시 교수로 있던 단게 겐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단게 겐조는 일본 최초의 프리츠..
2022.08.29 -
건축가 김중업 한국의 1세대 현대건축 대표인물
한국 현대건축 1세대 평양에서 태어난 김중업은 일본 요코하마공업고등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여 마츠다/히라타 건축사무소에서 3년간 실무 경력을 쌓았다. 이후 서울 조선 주택 영단 기수로 근무하고, 1945년 안양 조선 비행기 제작 주식회사에서 근무한 이력을 바탕으로 1947년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 조교수가 되어 건축을 가르쳤다. 당시 학생 중에 김수근이 있었다고 한다. 대한민국에서 1세대 현대건축을 대표하는 인물을 꼽으라면 건축가 김중업과 김수근 이 등장한다. 많은 자료에서 찾아 볼 수 있듯이 대한민국 건축은 이 두 사람으로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공통점으로는 두 사람 모두 이북 출신으로 김중업은 평양 김수근은 함경북도 청진부 태생이며 일본에서 건축을 공부했다는 것과 거의 동시대에 살았다. 세계 유명..
2022.08.25 -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를 설계한 자하 하디드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건축가 자하 하디드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 사업은 홍보와 시민의 관심을 이끌어 내기 위해 국제지명 초청현상 설계경기라는 공모전을 통해서 건축가 자하 하디드의 “환유의 풍경”이라는 설계안이 당선작으로 확정되었다. 해당 공모전은 2007년에 공모하여 같은 해 8월 당선작 발표 12월 부터 동대문운동장 철거 공사가 시작되었다. 2014년 3월 21일 DDP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가 개관하였다. 독특한 건물을 짓는 건축가 자하 하디드는 직선보다 주로 곡선을 활용한 디자인을 많이 적용했고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독특한 건물을 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사 공상 과학 영화에 등장하는 미래도시의 건축물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 같다.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건축물을 보면 알듯이 완..
2022.08.24 -
건축의 노벨상 프리츠커상 한국이 받을 수 없던이유
콘텐츠 강국 대한민국이 아직 건축 노벨상인 프리츠커상이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에 대한 독자의 시선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프리츠커상 프리츠커 가문이 운영하는 하야트 재단에서 수여하는 상으로 '건축의 노벨상'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건축 예술을 통해 재능과 비전, 책임의 뛰어난 결합을 보여주어 사람들과 건축 환경에 일관적이고 중요한 기를 한 생존한 건축가"에게 수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근현대 건축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건축가들이 수상하는 위상이 높은 상이다. 1979년부터 매년 수상을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아직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미국과 일본이 최다 수상 보유국이다. 실용주의 대한민국 바로 앞전에 일본 건축가 안도 다다오에 대한 포스팅을 하면서 대표적인 건..
2022.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