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3)
-
모듈러 건축과 프리패브 건축은 무엇인가?
모듈러 및 프리패브 건축의 개념모듈러(Modular) 및 프리패브(Prefabrication) 건축은 건물의 주요 구조물을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의 건축 기법이다. 기존의 전통적인 건설 방식과 달리, 이 방식은 공장에서 정밀하게 가공된 부품을 현장에서 빠르게 조립하여 완성도를 높이고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최근 환경 보호와 효율성을 강조하는 건설 산업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주거용 건물, 사무실, 병원, 학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모듈러 및 프리패브 건축의 장점이 건축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공사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이다. 기존의 건설 현장은 날씨나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기 쉬운 반면, 모듈러 건축은 공장에서 대부분의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일정 관리가..
2025.03.08 -
지속가능한 건축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떤것을 말하는 것일까?
지속 가능한 건축은 무엇인가?지속 가능한 건축(Sustainable Architecture)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건축 방식이다. 이는 건물의 전체 생애 주기를 고려하여 설계, 시공, 운영, 유지보수, 해체까지 모든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속 가능한 건축은 기후 변화 대응, 에너지 절약, 자원 순환 등의 개념을 포함하며, 건축물의 기능성과 쾌적성을 유지하면서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Net Zero) 목표가 강조됨에 따라 지속 가능한 건축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지속 가능한 건축을 위한 건축자재에는 무엇이 있을까?지속 가능한 건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건축..
2025.03.07 -
1979년 프리츠커상 최초 수상자 필립존슨
프리츠커상 최초 수상자 필립존슨1979년 프리츠거상 최초 수상자인 필립존슨의 성장과정과 대표작 그리고 그의 작품의 특징에 대해서필립존슨의 건축가로써의 성장과정필립 존슨(Philip Johnson, 1906 2005)은 미국 오하이오 주 클리블랜드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미술과 건축에 관심을 보였고, 하버드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한 후 건축에 대한 열정을 쫓기 시작했습니다. 1930년대 초, 그는 건축가로서 본격적인 경력을 쌓기 시작했고, 뉴욕 현대미술관(MoMA)에서 열린 "국제 스타일" 전시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전시회는 근대 건축을 대표하는 새로운 스타일로 널리 알려졌고, 그의 건축 스타일은 근대건축이 세계적으로 전파되는 데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필립 존슨..
2025.03.06 -
주택 외벽마감재 건축역사 시대적 흐름에 따른 종류
주택공사의 마지막 단계 중 하나인 외벽마감의 종류와 우리니라 건축역사적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떤 마감재들이 사용되어 왔는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외벽마감재 종류 다가구, 다세대, 상가주택을 포함하여 빌라신축 시 외벽마감재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 건축역사를 보면 시대에 따라 외벽 마감재를 다르게 사용되었던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어떤 종류의 마감재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벽돌 외벽 마감 중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적벽돌 마감이 주로 사용되어 왔는데요. 적벽돌은 1970년대 주택 외벽마감에 주로 사용되었던 마감재 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 현대건축 1세대로 불렸던 인물인 건축가 (고) 김수근 씨가 적벽돌을 이용한 퀄리티 있는 외벽마감을 한 것을 시작으로 1980년대까지 주택가 등지에서 적..
2023.08.08 -
날씨에 영향받는 콘크리트 타설 주의사항 쉽게이해하자
집 짓기에 중요한 콘크리트 타설은 기온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 시 날씨에 대한 주의사항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였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초보자들의 눈높이에 맞춘 글임을 안내드립니다. 콘크리트 타설 콘크리트는 기본적으로 시멘트, 모래, 자갈, 물 이렇게 4가지의 재료를 섞어서 만들게 되는데 콘크리트의 강도에 따라 비율의 차이가 조금씩 발생합니다. 콘크리트 평균적인 배합비율은 시멘트 1: 모래 3 : 자갈 6이라고 알고 계시면 되고요. 물과 시멘트 비율이 50%-60% 등의 차이에서 부피의 차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콘크리트 날씨의 영향 우리나라의 경우 4계절이라는 날씨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온에 영향을 많이 받는 콘크리트는 날씨에 따른 콘크리트와 타설방법과 양생에 차이가 있습니다. 한중콘크리..
2023.08.07 -
건축물의 기초 1층이 중요한 이유 평택고덕 상가주택 현장
상가주택 1층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천장 거푸집과 단열작업이 끝난 평택 고덕 상가주택 현장은 1층 슬라브 철근 배근과 설비 작업이 한창입니다. 건축물의 기초 건축물에서 기초를 바닥기초라고 얘기하지만 사실상 "건축물의 기초"에는 1층 까지를 포함하여야 한다는 게 글쓴이의 생각입니다. 왜 이렇게 생각하게 되는 걸까? 하리 또는 보 건축물의 1층의 기둥과 천장에는 1층 초과층의 하중을 견디는 구조로 설계시공이 이루어지는데 특히 천장에는 하리라는 횡(가로) 방향의 보가 존재합니다. 일본어로 하리, 우리말로는 보라고 하는데요. 이 보는 기둥과 기둥을 횡으로 지나 상부층을 하중을 견디게 되어있습니다. 4층이하 소형 건축물인 상가주택,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에는 보통 1층에만 보를 시공하지만 대형건축물에는 각 ..
2023.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