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

2025. 5. 7. 06:15Building.

#슬래브타설 #콘크리트시공 #냉절현상 #설비매립점검 #단내림시공 #차수판설치 #마감면레벨 #건축현장관리 #콘크리트타설팁 #아키워커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은 단순히 콘크리트를 붓는 작업이 아닙니다.
시공 순서, 설비 상태, 누수 차단, 마감 품질까지 모두 준비되어야 제대로 된 타설이 가능합니다.

1. 타설 순서 및 시간 계획

콘크리트는 한번 타설이 시작되면 정해진 시간 내에 끝내야 합니다. 타설 순서를 잘못 잡으면 중간 구간이 먼저 굳는 냉절현상(Cold Joint)이 생겨 구조적으로 약한 부분이 발생합니다.

구역별 타설 계획 수립, 진동봉 투입 위치, 인력 배치 계획까지 미리 정리되어 있어야 합니다.

2. 슬래브 상부 설비 매립 상태 점검

전기, 통신, 소방, 급배수관, 전등 박스 등은 콘크리트 타설 중 위치가 흔들리면 큰 문제가 됩니다. 한 번 밀리면 나중에 천장 설비 정렬이 맞지 않거나, 누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결속상태 확인, 커버 체결 여부, 설계 도면과의 일치 여부를 최종 점검하세요.

3. 단내림 구간 확인 및 거푸집 이탈 방지

화장실, 베란다 등 물 고임이 생길 수 있는 공간은 슬래브보다 100~150mm 낮게 단내림 시공합니다. 하지만 단내림 거푸집은 일반 구간보다 하중에 약해 틀어지기 쉬우므로 보강이 꼭 필요합니다.

단내림 지지대 보강 여부를 사전에 반드시 체크하세요.

4. 차수판 설치 여부 확인

외부에 노출되는 테라스, 발코니 슬래브는 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차수판 설치가 필요합니다. 슬래브 철근 사이로 물이 들어가면 누수 및 구조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차수판은 벽체 중심부 기준, 절반 이상 콘크리트에 노출되도록 배치해야 효과가 있습니다.

5. 레벨 관리와 마감면 평활도 확보

콘크리트 타설 후 마감면의 수평 상태가 불균형하면, 층고 오차는 물론 인테리어 마감과 설비 시공에도 문제가 발생합니다.

레이저 레벨기, 수평계를 활용해 타설 중에도 수시로 체크하세요.
특히 베란다 등은 배수를 위한 미세 경사가 필요하므로 사전 설정이 중요합니다.

결론: 슬래브 타설은 속도가 아니라, 준비의 완성도입니다

콘크리트 타설은 한번 시작되면 되돌릴 수 없습니다. 순서, 설비, 단내림, 차수, 레벨까지 철저히 점검한 후 시공에 들어가야 슬래브 위에 올라갈 모든 공정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