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체 철근 배근 전, 엘리베이터 규격 몰랐다가 벽 자릅니다 – 장애인 승강기 기준도 꼭 확인하세요
2025. 5. 8. 06:55ㆍBuilding.
#엘리베이터규격 #승강기설치기준 #철근배근실수 #장애인승강기 #출입구규격 #건축배근 #엘리베이터사양서 #도면확인 #건축실무 #아키워커
벽체 철근 배근 전, 엘리베이터 규격 몰랐다가 벽 자릅니다 – 장애인 승강기 기준도 꼭 확인하세요
벽체 철근 배근 단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실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출입구 규격을 확인하지 않고 시공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1. 엘리베이터 출입구 – 사양서 먼저 확인해야 벽 안 자릅니다
엘리베이터는 업체별로 출입문 폭, 기계실 높이, 레일 고정 위치가 다릅니다. 이를 미리 확인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 출입구 사이즈 미확인 → 벽을 절단하는 사태 발생
- 도어 프레임이 철근 간섭으로 설치 불가
- 레일 앙카 시공 시 철근 피해서 재타공 필요
👉 배근 전, 엘리베이터 사양서 도면 확보는 필수입니다.
→ 문폭, 천장고, 레일 위치, 전기박스 매립 위치까지 정확히 확인하세요.
2. 장애인 엘리베이터 설치 시 더 꼼꼼한 체크 필요
장애인용 승강기를 설치하면 해당 면적은 건축 연면적에서 제외되는 이점이 있지만, 그만큼 엄격한 설치 기준을 따라야 합니다.
배근 전 꼭 확인해야 할 장애인 승강기 기준:
- 출입구 경사로 경사: 최대 1/12 (약 8.3%) 이하
- 실내 복도 유효 폭: 1,200mm ~1,400mm 이상 (꼭 확인필요)
- 인터폰/조작 버튼 높이: 800~1,200mm
- 출입문 폭: 900mm 이상
- 문턱 높이: 20mm 이하 이지만 되도록 무턱으로 시공할것.
→ 위 기준을 모르고 철근 배근과 거푸집 시공을 먼저 하면, 인터폰 위치 재조정, 문 확장, 경사로 재시공 등 이중 비용이 발생합니다.
3. 벽체 배근 전 체크리스트
- 엘리베이터 도어 프레임 및 레일 위치 확인
- 장애인 승강기 여부 및 설치 규격 반영
- 인터폰, 호출기, 전기박스 매립 위치 파악
- 출입구 경사로 유무 및 실내 통로 유효 폭 확인
결론: 철근 배근 전에 확인한 도면 한 장이, 수백만 원을 아낍니다
도면만 믿고 시공하면 반드시 후폭풍이 따라옵니다.
엘리베이터처럼 구조, 설비, 법적 기준이 동시에 적용되는 요소는 사양서와 관련 규격부터 철저히 확인하고 시공을 시작해야 손해 없이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Buil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 (1) | 2025.05.07 |
---|---|
천장 슬래브, 철근만 촘촘히 깔면 끝? 진짜 중요한 건 따로 있습니다 (0) | 2025.05.06 |
앵커볼트 나중에 심는 거 아닙니다 – 기초 배근과 동시에 시공해야 합니다 (0) | 2025.05.05 |
기둥·벽체 철근 배근, 이거 틀리면 건물 전체가 위험합니다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