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축가(4)
-
기억을 설계하는 건축가, 야마모토 리켄
기억을 설계하는 건축가, 야마모토 리켄야마모토 리켄(Riken Yamamoto)은 공동체를 설계하는 건축가입니다. 그는 단순히 건물을 짓는 데 그치지 않고, 사람들이 어떻게 만나고 교류할지, 그 사이에서 어떤 관계가 생겨날지를 고민해왔습니다. 이웃과 사회를 연결하는 공간, 모두가 주인이 되는 건축을 추구하며 2024년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그는 일본 건축의 또 다른 방향을 제시했습니다.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바로 요코하마 국제학교(Yokohama International School)입니다. 기존의 폐쇄적이고 일방향적인 학교 건축과 달리, 이 건물은 완전히 열린 구조로 되어 있어 교사와 학생, 지역 주민까지도 건축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됩니다. 공간 곳곳에 마련된 열린 계단과 테라스, 공용 공간은 자연스러..
09:28:45 -
기술과 디자인을 연결한 건축가, 노먼 포스터
기술과 디자인을 연결한 건축가, 노먼 포스터하이테크 건축의 거장 노먼 포스터. 한국타이어 테크노돔에 담긴 그의 디자인 철학과 프리츠커상 수상 이유를 통해, 기술과 디자인이 어떻게 하나의 건축 언어로 연결되는지를 살펴봅니다.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바로 한국타이어 테크노돔(Hankook Technodome)입니다. 이 건물은 한국타이어의 R&D 허브로, 단순한 사옥이 아니라 기술과 혁신이 만나는 연구 플랫폼을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노먼 포스터 특유의 유려한 곡선과 정밀한 구조적 리듬이 결합되어,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상징하는 건축물로 평가받습니다. 출처 : 한국타이어내부는 협업을 위한 개방형 공간 구성과 자연채광을 극대화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친환경 인증(LEED Gold)을 획득해 지속가능성 ..
2025.04.17 -
빛을 설계한 건축가, 렌조 피아노
빛을 설계한 건축가, 렌조 피아노렌조 피아노(Renzo Piano)는 건축을 통해 빛과 사람을 연결해온 세계적인 건축가입니다. 화려한 조형보다 기능성과 감성을 중시하며, 자연광을 공간에 담아내는 설계로 ‘빛의 마법사’라 불리죠.그의 대표작 중 하나는 미국 뉴욕에 위치한 뉴욕 타임즈 본사(New York Times Building)입니다. 이 건물은 도시 한복판에서도 자연광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건축 외피에는 수직 루버 시스템이 적용되어 태양의 고도에 따라 빛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합니다. 이는 실내 쾌적성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고려한 혁신적인 설계입니다. 출처 : The New York Times building © Michel Denance렌조 피아노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과 ..
2025.04.16 -
건축가 김수근 한국 현대건축의 시대
한국의 1세대 건축가 김중업과 함께 한국 현대건축의 이름을 남겼던 건축가 김수근의 이야기이다. 벙어리 인척 살아야 했던 시절 어린 시절 미군 병사에게 영어를 배웠는데 당시 미군 병사가 건축을 전공하였고 이를 인연으로 건축가의 꿈을 키우게 되었다고 한다. 1950년 서울대 건축공학과에 입학하였다. 건축가 김중업을 교수로 만났지만 6.25 한국전쟁이 발생하면서 2학년 중퇴 후 일본에 건너가 건축을 공부했다. 전쟁으로 인하여 일본으로 건너갔지만 그곳의 삶은 쉽지 않았다. 한국인을 바라보는 일본인들의 달갑지 않은 시선으로 그는 벙어리 인척 연기를 하며 살았다고 한다. 여의도 입체도시 설계안 도쿄대학 대학원 석사를 취득할 당시 교수로 있던 단게 겐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단게 겐조는 일본 최초의 프리츠..
2022.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