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ilding.(17)
-
철근 콘크리트 집짓기에 사용되는 철근종류 (평택 고덕신도시 현장)
철근 콘크리트 집짓기 중인 평택 고덕신도시 현장입니다. 건축설계도에 따라 철근 배근이 한창입니다. 철근 배근에 사용되는 철근에는 다양한 철근이 존재하는데요. 2종 근린생활주택(근생주택) 또는 4층 이하 상가주택에는 어떤 철근 자재들이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형철근 철근 종류에는 원형철근(SR) 2가지와 이형철근(SD) 5가지가 있는데요 표면에 마디와 리브가 없는 매끈한 원형철근은 상가주택 시공에는 적합하지 않아 사용되지 않고 이형철근을 주로 많이 사용합니다. 여기서 마디와 리브는 철근의 주름또는 무늬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른데요. 마디(일정간격의 가로줄)와 리브(긴 세로줄)가 있는 이유는 콘크리트와 부착력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형철근 강도에 따른 구분 기본 이형철근에는 SD300 연강부터 ..
2023.07.31 -
평택 상가주택 집짓기 시스템비계 설치
평택 상가주택 신축 공사현장에 시스템비계 설치하였습니다. 공사현장에 꼭 필요한 비계에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요.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ffff 비계 비계는 공사현장에서 높은곳에 일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임시가설물로 인부들의 작업통로 또는 자재운반과 시공을 위한 발판으로 사용되는데요. 비계의 용도는 내부와 외부 그 외 다양한 비계로 나뉘지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계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비계설치에 사용되는 자재에는 크게 통나무와 파이프 비계가 있지만 파이프 비계를 많이 사용합니다. 설치공법에 따른 비계 종류 비계 종류 중 많이 사용되는 비계공법에는 크게 일반비계와 시스템비계로 구분됩니다. 비계와 함께 많이 사용되는 용어로는 동바리가 있지만 정확히 얘기하자면 동바리는 비계와 쓰임의 용도에서 ..
2023.07.28 -
평택 지제역 신축빌라 다세대 주택 기초공사 후 되메우기
평택지제역 인근 고덕신도시 신축빌라, 다세대 주택, 상가주택 공사현장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바닥기초공사 후 흙 되메우기입니다. 되메우기 지하 구조물 공사등을 위해 파낸 흙을 기초공사가 끝난 뒤 다시 원상 복구하는 것을 말합니다. 되메우기를 하는 이유 바닥 기초 철근배근을 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위해 틀(거푸집)을 만들어 바닥기초공사를 완료합니다. 이때 거푸집을 만드는데 주변부 공간 확보를 위해서 흙을 더 파내야 합니다. 기초공사 중 줄기초와 팽이기초에 대해 포스팅을 한 적이 있는데요. 줄기초에 비해 팽이기초가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터파기 할 때 파내는 흙의 양 때문이기도 합니다. 더 많이 파낸 흙을 처리할 때 발생하는 비용 그 흙을 처리하기 위해 옮길 때 발생하는 비용 등에서 줄기초에..
2023.07.27 -
바닥 기초 토목공사와 콘크리트 타설 평택 신축빌라
바닥기초 토목공사와 콘크리트 타설이 진행 중인 평택 신축빌라 현장입니다. 2종 근린생활시설 또는 2종근생 주택으로 1층은 상가 2층부터 4층 주인세대까지 주택으로 구성된 건축물을 말하는데요. 기초 토목공사 버림 콘크리트 시공이 완료되고 나면 기초 토목공사가 진행되는데요. 기초공사 순서에는 먹 매김(먹줄놓기)으로 기둥이 놓일 자리와 기둥의 하중을 받쳐줄 기초철근배근 위치를 체크하여 철근을 배근하기 시작합니다. 철근 배근은 설계부터 정해진 철근의 두께와 간격에 맞춰 시공합니다. 콘크리트 타설 바닥 기초 토목공사 중 콘크리트 타설은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특히 콘크리트 타설은 기온과 습도, 바람에 민감하기 때문에 아주 기본적이지만 많이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인데요. 특히나 최근 순살자이, 흐르지오, 통뼈캐..
2023.07.26 -
평택 지제역, 고덕신도시 주택 신축현장 바닥 팽이기초
최근 평택과 용인 지역이 반도체 특화단지 선정으로 기존 삼성전자 입주호재와 함께 거듭 발전되는 신도시로 많이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평택 고덕신도시 1종 일반주거지역의 부지에 상가주택 신축현장 바닥기초를 진행 중입니다. 해당현장은 평택 고덕신도시 예술의 전당이 들어설 위치와 아주 근접한 위치로 추후 상가 임대수익 면에서 큰 장점입니다. 바닥기초공사 종류 오늘 현장 작업은 바닥 중 가장 하층부 기초공사입니다. 바닥 기초공사에는 다양한 공법이 있지만 4층 까지만 신축이 진행되는 해당현장에는 줄기초와 팽이기초에 대해서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줄기초 바닥기초 공사중 가장 기본적인 공법으로 토지높이가 정상 높이(레벨)로 오랜 시간 전부터 형성된 곳(다져진 땅)이거나 신축하려는 건축물의 높이가 낮을 때 사용하는 바..
2023.07.25 -
2종 근생 다가구 주택 집짓기 규준틀 매기(야리가다)와 터파기
2종근생 다가구 주택 집짓기. 규준틀 매기(야리가다)와 터파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소개해 드렸던 지반조사와 경계측량에 대한 내용은 하단 링크를 이용하시면 확인 가능하시고요. 그 다음 절차인 규준틀매기와 터파기 입니다. 다가구 주택 집짓기 기초공사 준비 야리가다(규준틀 매기) 공사 현장에서 많이쓰는 용어인 야리가다는 한국식 용어로 규준틀 매기 입니다. 아마도 한국어 용어가 현장에서는 많이 안쓰이다보니 어색한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규준틀은 토지에 건물의 기둥과 벽체가 들어설 자리에 표시를 하여 기초공사전 밑작업 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쉽게 설명하자면 경계측량이 끝난 땅위에 건물이 올라갈 평면도를 간단하지만 정확히 그려 기초공사 작업을 위한 기초작업입니다. 이때 땅위에 기둥을 박고 실을 당겨 ..
2023.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