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높이 계산 안 하면 배근도 마감도 다 틀어집니다 – 시공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기준

2025. 5. 3. 06:54Building.

#건물높이제한 #건축법규 #층고조정 #고도제한 #일조권사선 #도시계획제한 #건축실무 #건축설계기초 #건물시공실수 #아키워커

건물 높이 계산 안 하면 배근도 마감도 다 틀어집니다 – 시공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기준

건축 현장에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건물의 전체 높이 제한입니다. 설계 전에 이 기준을 놓치면 나중에 층고가 안 맞고, 단열재를 잘라도 천장이 낮아지는 문제가 생깁니다.

건물 높이 제한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 조망권, 일조권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고도제한
  • 공항 인근이나 문화재 주변의 절대 높이 규제
  • 지자체 도시계획이나 주변 민원에 따른 사례별 제한

이러한 제한은 대부분 건축물 전체 높이(m 단위)로 정해지기 때문에, 그 안에서 층고, 슬래브 두께, 단열재, 마감재까지 층별 요소를 철저히 조절해야 합니다.

층고 조절이 필요한 대표적 상황

  • 1층 상가는 천장이 높아야 하므로, 주거층 층고를 줄여야
  • 단열재 두께를 줄이거나, 슬래브 구조를 변경하여 높이 맞추기
  • 층마다 층고를 다르게 설계 (예: 2.4m, 2.2m 등)
  • 최상층을 다락이나 설비층으로 분리하여 높이 분산

실제로 발생하는 문제 사례

  • 건축 허가 후 시공까지 완료했는데 총높이 63cm 초과 → 재시공 (김포공항 인근)
  • 층수 제한만 맞추고 층고를 과도하게 확보 → 조망권 민원 폭탄 (목포 바닷가)
  • 일조권 사선제한에 걸려 층고를 낮췄더니 2.1m 천장의 방이 생긴 다가구주택

결론은 명확합니다.
시방서, 배근 도면, 단열재 스펙을 아무리 꼼꼼히 준비해도 건물 높이 제한부터 확인하지 않으면, 설계부터 시공까지 모든 게 틀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