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실무(2)
-
벽체 철근 배근 전, 엘리베이터 규격 몰랐다가 벽 자릅니다 – 장애인 승강기 기준도 꼭 확인하세요
#엘리베이터규격 #승강기설치기준 #철근배근실수 #장애인승강기 #출입구규격 #건축배근 #엘리베이터사양서 #도면확인 #건축실무 #아키워커벽체 철근 배근 전, 엘리베이터 규격 몰랐다가 벽 자릅니다 – 장애인 승강기 기준도 꼭 확인하세요 벽체 철근 배근 단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실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와 출입구 규격을 확인하지 않고 시공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1. 엘리베이터 출입구 – 사양서 먼저 확인해야 벽 안 자릅니다 엘리베이터는 업체별로 출입문 폭, 기계실 높이, 레일 고정 위치가 다릅니다. 이를 미리 확인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출입구 사이즈 미확인 → 벽을 절단하는 사태 발생도어 프레임이 철근 간섭으로 설치 불가레일 앙카 시공 시 철근 피해서 재타공 필요 👉 배근 전, 엘리베..
2025.05.08 -
건물 높이 계산 안 하면 배근도 마감도 다 틀어집니다 – 시공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기준
#건물높이제한 #건축법규 #층고조정 #고도제한 #일조권사선 #도시계획제한 #건축실무 #건축설계기초 #건물시공실수 #아키워커건물 높이 계산 안 하면 배근도 마감도 다 틀어집니다 – 시공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기준 건축 현장에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건물의 전체 높이 제한입니다. 설계 전에 이 기준을 놓치면 나중에 층고가 안 맞고, 단열재를 잘라도 천장이 낮아지는 문제가 생깁니다. 건물 높이 제한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조망권, 일조권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고도제한공항 인근이나 문화재 주변의 절대 높이 규제지자체 도시계획이나 주변 민원에 따른 사례별 제한 이러한 제한은 대부분 건축물 전체 높이(m 단위)로 정해지기 때문에, 그 안에서 층고, 슬래브 두께, 단열재, 마감재까지..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