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건축에 사용되는 자재에는 무엇이 있을까?

2025. 3. 9. 13:54ARCHIWORKER.

지난번 지속 가능한 건축에 대한 이야기 이후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해 궁금증이 생기게 되었다. 진환경 자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친환경 건축자재의 종류와 특징

친환경 건축자재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여 제작된 재료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재들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탄소 배출량을 낮추며, 재사용 또는 재활용이 가능해야 한다. 친환경 건축자재는 주로 천연 소재 기반 재료, 재활용 및 재생 가능 자재, 저탄소·고효율 에너지 절감 자재로 구분할 수 있다.

 

1. 천연 소재 기반 건축자재

자연에서 얻을 수 있으며 가공 과정에서 화학 물질을 최소화 한 친환경 건축자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목재
    •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로 생산된 *FSC(Forest Stewardship Council) 인증 목재가 대표적이다.
    • 대나무는 빠르게 성장하면서도 강도가 높아 목재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다.
    • 삼나무, 편백나무 등은 항균성과 습도 조절 기능이 있어 실내 환경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천연 섬유 단열재
    • 양모, 코르크, 코코넛 섬유, 목재 펠릿 등을 활용한 단열재는 화학 성분이 적어 실내 공기 질을 개선한다.
    • 코르크는 방음 및 단열 효과가 뛰어나며, 탄력성이 있어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 점토 벽돌 및 황토
    • 점토 벽돌은 높은 내구성과 단열 성능을 갖추고 있어 냉·난방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 황토는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며, 원적외선을 방출해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FSC(산림관리협의회)는 1993년에 설립된 국제 비영리 기관으로 산림에 대한 환경보호, 사회적 책임, 경제적 지속 가능성하게 운영하는 비영리 기관이다. FSC에서 하는 역할은 목재를 사용하기 위해 산림을 경영하는 회사들이 무분별하게 벌목을 하지 않게 하고 나무를 벌목한 이후에 또다시 나무가 자랄 수 있게 관리하는 기관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된다. FCS에서 인증하는 종류에는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FSC 인증 유형 3가지
FSC 100% : FSC 인증을 받은 숲에서 가져온 목재.
FSC Mix : FSC 인증 목재와 통제된 비인증 목재가 혼합된 경우.
FSC Recycled : 100% 재활용 목재나 재생 재료로 제작된 목재.

 

FSC. 출처 : https://www.manoriaassociates.com/forest-stewardship-council-fsc.php

2. 재활용 및 재생 가능 건축자재

기존에 사용된 재료를 재활용하거나 폐기물을 가공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자재들로, 환경오염을 줄이고 자원 낭비를 방지한다.

  • 재활용 콘크리트 (Recycled Concrete Aggregate, RCA)
    • 기존 건축물 해체 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를 분쇄하여 다시 활용하는 방식이다.
    • 천연 골재(모래, 자갈)의 사용을 줄여 자원 절약과 탄소 배출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폐유리 활용 유리블록 및 창호
    • 폐유리를 가공하여 유리블록, 단열 유리, 친환경 창호 등에 활용한다.
    • 유리의 재사용을 통해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고 폐기물 발생을 줄일 수 있다.
  • 재활용 금속 (알루미늄, 철강 등)
    • 철강, 알루미늄 등은 재활용이 용이하며, 재활용 시 신소재를 생산하는 것보다 에너지 소비량이 적다.
    • 특히 알루미늄은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 건축 외장재나 창호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 폐플라스틱 및 재생 플라스틱 제품
    •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여 벽재, 바닥재, 단열재 등으로 사용된다.
    • 재생 플라스틱을 활용한 건축자재는 내구성이 높고, 특정 조건에서는 방수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다.

3. 저탄소·고효율 에너지 절감 자재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친환경 건축자재들이다.

  • 고기능 단열재 (친환경 보온재)
    • 진공 단열재(VIP, Vacuum Insulation Panel), 에어로젤 단열재 등은 기존 단열재보다 열전도율이 낮아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크다.
    •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보다 친환경적인 대체재로는 양모 단열재, 셀룰로오스 단열재 등이 있다.
  • 친환경 페인트 및 마감재
    •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적거나 없는 천연 페인트(석회 페인트, 점토 페인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 미네랄 기반 페인트는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하며 실내 습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 저탄소 시멘트 및 친환경 콘크리트
    • 기존 시멘트 생산 과정에서 다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이 애쉬(Fly Ash), 고爐슬래그(GGBS), 포졸란(Pozzolan)**을 활용한 저탄소 시멘트가 개발되었다.
    • 카본 네거티브 콘크리트(Carbon Negative Concrete)는 공기 중의 탄소를 흡수하는 특성이 있어 온실가스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태양광 패널 및 스마트 유리
    • 건물 외벽이나 지붕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면 재생 에너지를 직접 생산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 스마트 유리는 햇빛의 강도에 따라 투과율이 변하는 기능을 갖춰 여름철 냉방 에너지를 절약하는 데 효과적이다.

 

친환경 건축자재의 중요성

친환경 건축자재는 단순히 환경을 보호하는 것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지속 가능한 자원을 활용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며, 인간의 건강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글쓴이는 진짜 100% 친환경자재는 무엇인지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에 대한 고민은 더 깊어질 것 같다. 앞으로 건축 기술이 더욱 발전함에 따라 친환경 자재의 활용 범위도 더욱 확대될 것이며, 정부와 기업 차원에서도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을 장려하는 정책과 제도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친환경 건축자재의 사용은 필수적인 선택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중화되어있지 친환경자재는 일반자재에 비해 비용이 부담스럽게 다가오기도 한다. 친환경자재 대중화는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핵심 코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